![](https://blog.kakaocdn.net/dn/davms8/btsHtpELOaV/T244LLRF8OHxOfETHwkVTK/img.jpg)
NOTICE: 본 내용은 전국 공통적인 내용으로, 일부 부분적으로 다른 사항은 해당 학원 등의 시험관(검정원)이나 전문강사의 지도를 따라주세욥😉
#자동차운전면허 #도로주행시험 #합격점수(커트라인)은 70점이고, 안전과 채점을 위해 검정원(시험관)이 동승하며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다른 응시생 등 참관인이 뒤에 같이 타고 출발합니다.😋
먼저 #실격사유 입니다. 3회이상 출발불능, 3회이상 엔진정지(1종수동), 3회이상 급브레이크 또는 급출발, 신호위반,(우회전시 적색신호 포함.) 보행자보호위반,(보행자신호 및 신호없는 횡단보도 보행 및 건너려고할때 다 건널 때까지 정지.도로교통법27조) 어린이.노인.장애인 보호구역 최고속도 초과, 중앙선침범(※유턴시 이유없이 중앙선을 물고 도는 경우 등은 금지장소진로변경 7점, 이유없이 안전지대 침범 등은 차로유지미숙 5점 감점에 해당하나 유턴점선을 완전히 지나친 경우는 실격.--> 앞의 차들 때문에 진로변경이 어렵거나 주.정차 차량이 있는 등 이유가 있을땐 면책), 안전띠 미착용(주행중 풀려도 실격되므로 확실히 멜 것), 제한고속도 10km초과하여 10M이상 주행할 시, 긴급자동차 미양보, 어린이통학버스 특별보호의무 위반(승하차시 일시정지 안전확인), 현저한 운전능력 부족(3회이상 엔진정지. 급브레이크. 급출발 등), 사고위험(사고야기), 시험관 지시불이행, 복귀할 수 없이 벗어난 경로이탈(코스이탈) 😝
이번엔 #감점사유 입니다. 승차전 차량안전미확인 -7점(대개 생략하기도 함.), 주차브레이크(사이드)미해제 -10점, 10초내미시동 -7점(1종), 주변교통방해 -7점, 엔진정지 -7점(1종), 신호계속(출발 후 도로 진입 전 좌측 깜빡이를 안 끈 경우) -5점, 시동장치조작미숙(엔진재시동) -5점, 엔진브레이크사용미숙(1종 타력주행) -5점, 제동방법미흡(정지선위반 포함) -5점, 정지때미제동 -5점, 급브레이크1~2회 -7점, 핸들조작미숙 -7점, 1미터간격미유지 -7점, 차로유지미숙 -5점, 진로변경시안전미확인 -10점, 진로변경 또는 좌.우회전(유턴포함)시 30M전 깜빡이를 안 넣은 경우 -7점, 진로변경후 깜빡이를 안 끈 경우 -7점, 진로변경미숙 -7점, 우회전 적색신호시 일시정지 위반 원칙적으로 실격(애매하면 -10점), 적색점멸등. 어린이보호구역내 횡단보도 등의 일시정지 의무 위반 -10점, 신호등이 없는 교통이 빈번한 교차로에서의 일시정지 위반 -10점, 신호차방해 -7점, 정지중기어미중립 -5점. 대충 실수하기 쉬운 감점사유를 나열해 봤습니다ㅎ; 🤓
보시면 알겠지만 주행중에는 "안전미확인" 이라는 항목이 -10점으로 가장 점수가 큽니다. 차선을 바꿀 때(내 차선이 아닌 다른 차선으로 가는 모든 경우엔 잠깐이라도 살핀다고 보면 돼욥. 최소한 고개를 조금 돌려 보는 척이라도 해야 합니다!!) 반드시 백미러를 살펴야 하고(고개가 살짝 돌아가야 인정됨), 측면에서 오는 차는 차창밖으로 확인(숄더체크)하며, 신호없는 교차로나 사각지대에서는 좌.우 안전을 살피는 거(고개가 딱~딱 돌아가야 하고, 필요시 일시정지) 역시 매우 중요합니다! 🥺
계기판에 빨간색 경고등 확인~!! (안전벨트:실격사항, 주차브레이크: -10점 또는 실격, 문열림: -5점) 다만, 주황색 경고등은 차후 정비가 필요하다는 표시로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당^^~
![](https://blog.kakaocdn.net/dn/HoVRO/btq6n6VKjPi/IWxG8pkssg51UiRLfcOlW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9t7U7/btq6n5CyVgl/NkOaKBEV3M29bPf05fnvH0/img.jpg)
감점사유 중에서 이해가 잘 안 되는 내용도 있을 거예요. 쉽게 풀어볼게요. 참고만 하세욥^.^ 😊
1. 10초내미시동: 시동을 꺼뜨리고 10초 안에 시동을 걸지 못하면(1종수동에서 발생하죠) 자동 감점.
☆ 시동을 꺼트리면 침착하게 기어를 중립에 넣고 바로 시동을 걸거나, 시동을 켜고 출발기어를 새로 넣고 천천~히! 출발.🤜(기어가 잘못 들어간 상태에서 출발하거나 클러치를 빨리 떼면 연거푸 시동이 꺼지기 때문.)🤛
2. 주변교통방해(검정원의 판단): 운전미숙 등으로 다른 차량에 불편을 초래한 경우 수동 감점. 예를 들어, 교차로에서 파란 신호로 바꼈음에도 한눈 팔고 있다가 한참을 출발하지 않은 경우나,(단순히 안전을 위해 천천히 출발하는 건 괜찮고욤ㅎ) 충분히 안전하게 갈 수 있는 조건에도 불구하고 한참을 가지 않아서 뒷차에게 피해를 초래한 경우 등.
3. 엔진브레이크사용미숙: 주행중(30km이상에서) 클러치를 밟은 채로 5초 이상 지나면 자동 감점.(수동에서 기어 바꾸고 클러치를 떼지 않거나 정지시 너무 일찍 클러치를 밟은 경우) 오토는 미리 중립을 넣고 주행한 경우.
4. 정지때미제동: 정지한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밟고 있지 않은 경우 자동 감점.
5. 핸들조작미숙: 수동 채점항목으로, 대개 어느 정도는 그냥 넘어가지만 심한 정도로 핸들조작이 서툴렀을 때 핸들조작미숙으로 감점될 수 있습니다. 핸들링의 부적절 등 검정원의 판단에 의해 좌우되며, 핸들조작미숙에는 한손운전(최소한 다른 손을 핸들에 대고는 있어야 함)이나 양팔교차운전도 포함됩니다.
6. 1미터간격미유지: 수동채점으로, 장애물(주차된 차량, 보행자, 기타 장애물)옆을 너무 가깝게 지나간 경우.
7. 안전미확인: 진로변경이나 교차로에서 백미러 또는 차창을 통해 고개를 돌려 차가 오는지(보행자가 없는지) 안전확인을 하지 않은 경우 수동 감점. 때문에 눈만 돌려서는 안 됩니다. 어느 정도는 고개가 같이 돌아가서 옆에서 안전확인을 했다는 것을 느낄 수 있게 해주어야 합니다. 🛵
8. 진로변경후 깜빡이를 안 끈 경우: 진로를 변경했다.. 그럼 깜빡이는 대체 언제 끄는 게 정석인가? 법에서는 뒷바퀴까지 온전히 차선에 들어올 때를 차로변경이 완료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만 수동채점 항목인만큼 너무 타이트하지는 않습니다.
9. 신호차방해: 제 신호에 따라 진행하는 차보다 먼저 가려고 하는 등의 방해를 했을 때 수동 감점됩니다. 울 수강생분들께서 일부러 그럴 일은 절대 없고요ㅎ 앞을 잘 보지 못하고 있다가 간혹 신호를 받고 오는(특히 우리차가 우회전할 때 앞에서 좌회전하는 차량)차 앞에 끼어 들 것 같은 실수를 하기도 합니다.
10. 정지중기어미중립: 정지한 상태에서 기어를 중립에 놓지 않고(기어를 너무 일찍 넣고 기다려도 마찬가지) 10초 지나면 자동 감점
11. 속도가속구간(속도유지구간): 지시한 속도를 초과해서 약3~5초간 유지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15초이내 50km이상 주행하세요" 또는 "50km이상으로 속도를 유지하세요."라고 한다면 50키로를 넘겨서(약55정도만) 약5초간 유지하고 다시 원래 속도로 돌아오면 됩니다효.(시스템에 따라 3초간 또는 5초이상 유지할 수도 있습니다.)
나는 1종스틱이다?
그렇다면 시험차량에 승차한 후 좌석조정 등과 안전벨트를 착용후 제자리에서 기어를 조작해보세요.(2단->3단->4단->2단->3단->2단->중립->중립확인 등) 연습차량과 느낌이 다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검정원께서 그 정도의 시간은 줄 것입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13.gif)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