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능시험 가속구간의 최고 걸림돌은?

by 키덜트재희 2021. 5. 28.
728x90

 
 

 


#운전면허 #기능시험(#장내)에서 직각주차가 합격을 좌우하는 기능시험의 '꽃'이라면 #가속구간(#기어변속구간)은 #1종수동에 있어서는 '마의 구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2종은 쉬우니깡ㅎ) 수동차량을 처음 접하는, 그것도 괜스레 무시무시하게 보이는 트럭을 운전해야하는 수강생분들은 여지없이 힘들어 합니다. 😢
 

짧은 구간에서 속도를 높인후 기어를 변속하고 다시 제동을 하는 작업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40M라는 가속구간이 절대 짧은 것은 아닙니다.ㅎ;; 😅
 

가장 큰 걸림돌은 바로 '두려움'입니다. 속도를 갑자기 높여야 하고 정신없이 기어를 변속하고 다시 속도까지 줄여야 한다는 압박감이 덜덜 떨게 만드는 것이죠. 먼저 액셀을 밟는 걸 주저하지 마세욤. 끽해야 속도 20~30km밖에 안 됩니다. 자전거도 로드에서는 이 정도 달리 수 있죠. 차로(차선)만 똑바로 들어섰다면 절대 사고 안 납니다! 곧 브레이크 밟을 거잖아요? 아무 일도 생기지 않아요~ 😊 아! 속도계나 기어 보시면 안 되욧~ 앞을 보셔야 합니당~~!!
 

기어변속할 때는 클러치를 확실하게 밟아야 합니다. 속으로 외치면서 하세요~ "부~~웅! 액셀떼면서 클러치! 3단! 2단! 브레이크!" 이걸 처음에는 가속구간 내에서 하지 말고 더 긴 구간에서 연습을 하다가 좀더 빠르게 한 동작으로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속도를 낮추는 방법으로는 3단->2단->브레이크와 3단->2단->클러치떼기가 있는데 통상 브레이크가 유리하여 본 글에서는 클러치 떼는 방법은 생략함.) 😌
 
 
클러치를 확실히 밟는 동시에 3단은 부드럽게 넣고 2단은 확실히 꺾어서 넣으며 동시에 브레이크를 쭈~욱 밟아서(급브레이크 아님!) 차가 정지하지 않을 정도로(속도를 10km정도까지 줄인다고 생각하면 됨) 속도를 팍 줄여줍니다. 빨리 하려고 하지 말고 정확히 하셔야 합니다. 클러치를 꽉 밟지 않으면 기어가 기깅 하면서 잘 들어가지 않아욧~ 그럼 당황해서 변속도 제대로 못하고 오히려 가속을 하지 않은 것보다 못할 수도 있습니다. 🥵


 


 
 

가속구간 통과 방법 1



공통사항: 가속을 #실제로 해야 하는 부분은 최저속도 표지판를 지난 10M지점 부터입니다. 가속을 준비하는 10M내에서(여기부터 가속하는 거 아닙니당~) 차를 차선과 반듯하게 맞추고 클러치를 천천히 떼다가 다 떼야 합니다. 그래야 액셀을 밟죠ㅎ(핸들링이 되시는 분들은 가속구간 들어가기 전부터 2단으로 클러치를 다 떼고 오는 게 훨씬 유리합니닷!)
 
그리곤 바로 액셀을 망설임없이 힘차게 최고속도 표지판이 있는 중간 부분까지만(약 1~2초간이므로 빠르게 1~5까지 숫자를 세며 액셀을 힘껏 밟다가 5에서 떼고 바로 클러치 밟으면 거의 맞습니당~) 쭈욱 밟습니다. 그래야 가속(20km이상)이 됩니다. 힘차게 안 밟으면 하나마나입니다. (이때 너무 세게만 밟으면 RPM이 4천이 넘어가서 5점 감점될 수도 있습니다만 어지간해서는 안 넘습니다.) 그리곤 바로 클러치 밟고 기어변속 후(3단→2단) 브레이크를 밟습니다.(속도를 절반정도만 줄인다고 생각하고 브레이크를 밟다가 뗍니다. 완전 정지 아님!) 빨리 하려고 하지 말고 하나의 연결동작으로 정확하게 하려고 하세요(중간에 뜸들이지 말고요~) 😠

속도를 줄이는 방법으로는 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게 통상적이지만 3단에서 2단 변속 후 브레이크 대신에 그냥 클러치만 떼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가속구간 통과 방법 2



가속구간 들어가서 액셀을 쭉 밟은 후 기어 3단까지 넣는 건 똑같고, 그 다음 바로 기어변속(2단)을 하는 게 아니라 브레이크로 속도를 먼저 팍 줄인 후(완전정지하지만 않을 정도로) 기어를 2단으로 바꾸고 빠져나오는 방법입니다. 방법1과 마찬가지로 기어 3단 넣는 때부터는 클러치는 계속 밟고 있는 상태로 있다가 속도가 아주 많이 떨어지면 클러치를 조금씩 떼어서(최초 출발할 때처럼) 가면 되겠습니다.^^~

이 방법은 가속 후 연속 변속(3단ㅡ>2단)이 너무 힘들거나 마지막에 속도를 줄이지 못하는(속도를 제대로 줄이지 못하면 감점이 추가로 발생) 응시생에게 적합한 방법으로 가속구간 내(최고속도 표지판 지나기 전까지만 기어변속 완료)에서만 이루어지면 됩니다. 😇

2단으로 가속구간에 진입하는 게 너무 어려우신 분은 1단으로 진입하되 최대한 빨리 차를 반듯하게 맞추고 정지해서 2단으로 변속 후 액셀밟는 부분까지 클러치를 천천히 다 떼고 가속을 하면 되겠습니다만 2단으로 진입하는 것보다 시간이 약 20~40초 정도 딜레이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이건 통과방법 1. 2. 모두 동일합니다.)
 
 
 





학원에서는 어디에서 어디까지만 액셀을 밟으면 된다고 지도를 할 수도 있습니다. 네, 딱 거기까지만 액셀을 밟고(너무 오래 밟는 거 아닙니다. 다만 힘차게 밟아야 합니다.) 바로 기어변속 들어가고 브레이크를 밟거나 클러치를 떼는 거죠. (완전히 정지해서는 안 됩니다. 가속구간 내 정지하면 10점 감점) 2종은 기어변속없으니까 훨~씬 쉽지만 그래도 두려움없이 액셀은 힘껏! (기준은 20km초과지만 속도계가 정확하지 않으므로 올릴 때는 25km정도 올렸다가 내릴 때는 10km정도까지) 브레이크도 쭈욱~~(완전 정지아니고 속도만 절반이하로 줄이는 거임!) 😮
 
 
일부 학원의 경우는 시스템적으로 액셀을 밟기 전에 가속구간에 들어와서 먼저 기어변속을 하고(3단->2단) 클러치를 뗀 후 액셀을 밟은 후 클러치, 브레이크로 속도를 줄이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하니 학원에서의 시험시는 담당 강사의 지도에 따라주세요.




 

 
 가장 중요한 건 가속구간 들어오기 전에 차를 똑바로 맞춰야 한다는 겁니다. 그래야 조금이라도 빨리 액셀을 밟을 수 있기 때문이죠. 그니까 핸들 막 돌리지 말고 길을 좀 멀리 보면서 핸들링을 하세욤.

또 하나는 클러치를 다 뗀 상태에서 액셀을 밟아야 가속이 되지 클러치를 조금이라도 밟고 있는 상태에서 밟으면 가속이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만약 차선을 못 맞추고 가속구간에 이미 들어와서 너무 늦었다 생각되면 아예 액셀을 밟지 마세요. 위험하기도 할 뿐만 아니라 가속→기어변속→제동 이 연쇄적으로 늦어지기 때문에 제대로 가속도 못하고 제동도 못해서 가속불가나 감속못함으로 -10점에 속도위반 -3점이 더해질 수 있습니다. 합이 -13점ㅜㅜ 차라리 기어만 바꿔주고 그대로 빠져나오는 게 나을 수 있는 거죠.🥴

그래서 학원에서는 간혹 가속구간을 #포기 하는 게 어떻겠냐고 묻기도 할 겁니다. 왜냐하면 가속구간에서 가속없이 기어변속만 해주어도 가속불가 -10점만 될 뿐이라서 만약 가속구간에 오기 전까지 90점 이상의 점수로 통과했다면 감점이 되도 80점으로 합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마지막 종료시 우측 깜빡이를 제대로 넣는다는 가정하에서죰. 단 가속구간을 포기한다고 해도 기어변속은 해주어야 합니다. 기어변속을 아예 하지 않으면 감점이 아니라 아예 "실격!"이 되며,

#가속포기 를 마음 먹었다면 2단으로 가속구간에 진입해서 슬슬 가다가 그냥 천천히 기어만 3단으로 바꿨다가 2단으로 바꾸고 슬슬 빠져나가면 됩니다. 가면서 기어 바꾸기 어려우면 가속구간 내 중간쯤에서 잠깐 멈춰서 기어변속해주고 그대로 빠져나가도 됩니다. 다만 시간이 모자를 수도 있기 때문에(제한시간은 코스길이에 따라서 약 9분 20초~59초사이입니다.) 가속구간을 지나고 종료하러 가는 직진구간에서 20km가 넘지 않는 속도로 액셀을 밟고 오면 좋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