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전면허 #도로주행시험 에서는 대체 왜 #정지 하면 기어를 #중립 에 놓으라고 하는 걸까요?
일단 정지했을 때 일정시간(약10초) 안에 기어를 중립에 두지 않으면 자동으로 감점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냥 놓으라면 놓으세욤ㅎㅋ
1. 안정
오토의 경우 기어를 D에 두고 브레이크를 밟고 대기하게 되면 바퀴는 굴러가려는 것을 브레이크가 붙잡고 있는 꼴이 됩니다. 이게 과연 자동차에 좋을까요? 브레이크를 밟는 힘도 조금 더 세게 줘야하고... 조금이나마 브레이크에 무리가 가게 되고 연비 또한 나쁠 수 밖에 없습니다. RPM(분당 엔진 회전수)이 증가하니까 환경오염 또한 조금이나마~ 더 되겠죠?^^;
2. 안전
그럴 리는 거의 없겠지만 만에 하나 운전 대기 중에 의식을 잃는 일이 생기거나 사고가 발생했을 때 기어를 D에 두고 있으면 발을 뗐을 때 자동차가 저절로 움직이게 되겠죠? 즉 사고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수동도 중립에 놓고 있는 것이 조금 더 안전하고 클러치를 떼고 있어도 돼서 발이 편합니당.
※ 주행중 기어를 중립에 두면 안 되는 이유는 중립은 기어가 빠진 상태이므로 기어에 의한 속도의 감속이 되지 않고 오히려 가속도의 영향으로 더 빠르게 진행하기 때문입니다. (액셀만 뗀 그 자체도 엔진브레이크에 해당.)
3. 결론
운전은 습관입니다. 기어를 중립에 놓는 습관을 들이면(물론 귀찮지만.. 1분 이상 기다리는 경우라면) 차량과 사람에게 좋습니다. 🥰
1. 브레이크 밝고 있는 발이 훨씬 편하다.
2. 차량에 무리가 덜 간다.
3. 환경오염이 덜 된다.
4. 유사시 사고를 방지한다.
5. 시험에서는 감점된다.
그리고 오토 차량도 수동처럼 #엔진브레이크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액셀만 떼도 그 자체가 엔진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것이지만, 거기에 기어를 저단으로 변속하여 기어비에 의한 엔진브레이크를 흔히 엔진브레이크라고 지칭합니다. 오토도 기어를 보면 2나 L 또는 + - 와 같은 표시의 기어가 있는데요.. 그게 수동기어입니다.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