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종수동 클러치는 무엇인가? 초간단 알아보깅ㅎ[도로주행]

by 키덜트재희 2021. 5. 17.
728x90

 
 




#1종수동운전면허#수동차량(#스틱)을 사용하는데 1종차량(트럭)에는 #클러치(페달) 라는 게 있습니다. 과연 요녀석의 #역할 은 무엇인지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당~^^  (1종오토는 당연히 자동변속기라서 2종이랑 같지횸ㅎ)

바퀴를 구동하려면 엔진의 힘이 필요하잖아요? 시동을 걸면 바로 이 엔진이 돌아가게 되는 거고 그 힘(#회전력)이 바뀌까지 전달되어 차가 굴러갑니다~ㅎ 이때 액셀을 밟으면 회전력이 세져서 차는 빠르게 달리는 것인데, 엔진에서 바퀴는 다이렉트로 연결된 게 아니라 #변속기(기어)를 거치게끔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기어를 #중립 에 놓고 액셀을 밟으면 엔진은 회전하지만 차는 나가지 않습니다.(이걸 #공회전 이라고 하죰ㅎ) 기어는 단수에 따라서 회전력(토크)을 다르게 하는 기능을 합니다. 그래서 출발할 때는 힘이 좋은 1단이나 2단을 사용하는 것이죠.

하지만 수동차량은 클러치페달(클러치페달을 그냥 클러치라고 부르고 있지만 클러치와 클러치페달은 전혀 다릅니담. 브레이크를 밟는다고 표현하지만 실제로는 브레이크페달을 밟듯이 말이죠. 브레이크는 바퀴 쪽에 있잖아요? ㅎ;)을 밟아서 클러치(클러치디스크)와 변속기 사이의 연결을 끊어서(이걸 #동력차단 이라고 해욤ㅎ;) 기어를 바꾸고, 다시 클러치페달을 뗄 때 클러치와 변속기가 연결되고 그 힘이 바뀌까지 전달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처음 출발할 때는 기어(톱니바퀴?ㅋ)가 잘 물릴 수 있도록 클러치를 천천히 떼주는 것입니다. 그래야 바퀴에 탄력이 붙는답니당~ 탄력이 붙은 상태에서 클러치를 마저 다 떼주는 것이죱^^;

#오토차량 의 경우는 이 기어변속을 자동으로 해주기 때문에 클러치페달이 없습니다.(오토라고 해서 클러치 자체가 없는 건 아니고 자동으로 기어를 변속해주는 #유체클러치 또는 무단변속기←얘는 클러치가 없고욤ㅎ 가 장착되어 있답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는 마세욤~ 토크가 어쩌니... 동력차단이니... 이런 건 자동차 #메커니즘 을 이해할 수 있어야 정확히 알 수 있는 것으로 우리는 운전자로서 알아야 할 내용만 알면 됩니다. 저도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전혀 모른다는 ㅎㅎ;;


#클러치란? 아! 기어 바꿀 때 쓰는 거~ 클러치랑 기어는 바늘과 실처럼 한 세트라는 거~ 고속주행 중에 클러치를 계속 밟고 있으면 더 빨리 가서 감점되고,(그래서  3단이나 4단 기어변속후에는 클러치를 스윽 떼는 거예욥!) 정지하기 전까지 클러치 안 밟으면 시동 꺼진다는 거~ 그래서...


1. 서서히 정지할 때는 브레이크로 속도부터 낮춰주면(자전거속도나 20km정도로) 클러치는 언제라도 밟을 수 있으니까 속도부터 낮추라는 거~
(순서: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브레이크로 속도부터 낮추기->클러치->브레이크로 간격조절해서 마저 정지)우리가 기능시험시 언제라도 클러치를 밟을 수 있던 이유가 바로 속도가 낮았기 때문입니다.​





2. 갑자기 정지할 때는 브레이크와 클러치를 동시에 밟고 정지하라는 거~  



3. 초보자가 평지에서 처음 출발할 때는 브레이크를 먼저 떼고 클러치 천천히(한번에 떼는 게 아니라 반 반클러치상태에서 약 5m정도 조금가다가~ 탄력받은 후 마저 떼기) 떼야 한다는 거~





4. 단, 경사의 경우는 급경사가 아닌 이상 기어2단 또는 1단, 반클러치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떼고  클러치를 반쯤 더 떼고 조금 가다가 천천히 다 떼면(순서: 반클러치 만들기->브레이크 다 떼기->클러치를 반 정도만 더 떼서 약 5m정도 또는 2~3초 정도 앞으로 조금가다가~ 즉 바퀴가 조금 탄력받은 후 마저 떼기) 차는 올라갑니다. 다 뗀 다음에는 액셀을 밟지효. 만약 정말 조금만 밀리는 경우라면 클러치를 정말 천천히 떼주면 앞으로 나간다는 거😏



5. 아주아주 천천히 가는 경우에는 2단에서 클러치를 1/3정도만(바퀴가 움직이는 정도)만 떼고 가면 브레이크를 사용해서 더 천천히 갈 수 있다는 거~(단, 클러치를 많이 떼고 브레이크를 사용하면 시동이 꺼집니다.!)



6. 기어를 바꾸기 위해서는 먼저 클러치를 꾸욱 밟고 기어를 급하지 않게 정확하게 넣어야 합니다. "1종 스틱은 절대 서두르지 않습니다."  또한 최초 출발시나 계속 가는 상황에서 속도가 정지속도와 비슷해지면(10km미만) 무조건 기어는 힘이 좋은 2단으로 바꿔서 가야한다는 거~(이건 꼭 명심!!!)





😇우리는 요정도만 알면 됩니다효.🤗
 
 
 


댓글